철학/철학개론6 Ⅵ. 자연, 문화, 아름다움 Ⅵ. 자연, 문화, 아름다움 1. 자연이란 무엇인가? (환경윤리학) 1) 자연에 대한 이해 2) 환경윤리학 3) 환경윤리학의 과제 ① 생태학적 양식의 성찰 ② 자연보존의 윤리적 실천 2. 문화의 본질은 무엇인가? (문화연구) 1) 문화의 이해 ① 문화의 의미 ② 문화의 사회성과 역사성 ③ 문화적 존재와 자기 완성 2) 역사 전승과 문화 창조의 주체 ① 역사 전승의 중요성 ② 문화 창조의 주체 3.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미학) 1)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 2) 아름다움에 관한 학문 3) 아름다움의 분류 4) 자연미와 예술미 5) 아름다움과 예술 ① 예술의 목적과 아름다움 ② 예술의 영역과 아름다움의 영역 ③ 아름다움의 개념과 예술 개념의 상호 관계 2013. 11. 14. Ⅴ. 정치철학·사회철학- 나와 너, 그리고 우리 Ⅴ. 나와 너, 그리고 우리 1. 정치 철학의 근본적 문제들 1) 개인과 사회의 갈등과 조화 ① 개인과 사회 가운데 어느 편이 더 근본적이며 우선적인가? - 개인이 우선 or 사회가 우선 or 개인과 사회는 상호적·유기적 - 듀이: 문제제기 자체에 잘못이 있다. 일반적 의미로 '개인이라는 것' 또는 '사회라는 것'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가회 및 개인에 관한 문제들은 개별적 특수성에 따라 검토해야 하며, '사회' 또는 '개인'에 관한 일반적 관념을 통해 일률적 결론을 내리면 안된다. ② 권리와 의무의 관계: 권리와 의무 사이의 가교가 되는 것이 자율이다. 자율은 개인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사회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임을 느끼게 되는 데서 비롯되는 일종의 절제이고 질서이다. 이는.. 2013. 11. 14. Ⅳ. 윤리학-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Ⅳ.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 윤리학의 근본문제 1) 윤리학의 과제 윤리학은 인간의 행위에 관한 여러가지 가치 문제와 규범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倫理는 인간 관계의 도리이다. [In 동양] 유교윤리인 오륜(군신유의, 부자유친, 장유유서, 부부유별, 붕우유신)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섯 가지 덕목인 오상(의, 친, 서, 별, 신)은 유교윤리의 본질을 보여준다. [In 서양] Ethik(독), Ethics(미)는 헬라어 에토스(ethos)에서 유래했다. 에토스는 거주지, 집이라는 뜻이 전이되어 풍습, 개인의 품성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라틴어 모스(mos)에서 유래한 도덕(moral) 역시 관습 및 풍습을 의미한다. 따라서 풍습과 윤리는 매우 밀접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13. 11. 14. Ⅲ. 형이상학-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Ⅲ.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1.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1) 어원 ① 형이상학: 주역 "형이상자(形而上者)를 도(道)라 말하고, 형이하자(形而下者)를 기(氣)라 말한다" 형이상자(도)는 모든 자연의 변화와 생성의 궁극적 원인이다. 형이하자(기)의 이합집산으로 만물이 형성된다. ② metaphisica: 자연학 뒤에 오는 것, 즉 자연을 초월하여 영구불변하는 아르케(참된 실재)에 관한 학문 2) 형이상학의 성격 분과 학문들의 지식체계는 그 체계속에서는 검토되지 않은 개념(관념 속에서 공통요소를 종합한 하나의 일반적 뜻)과 전제(추론의 기본 가정)를 근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그 지식체계의 정당성은 자신의 체계 밖에 있는 전제와 개념에 의해서만 주어진다. 그러나 형이상학은 바로 이러한 정당.. 2013. 11. 14. Ⅱ. 인식론-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Ⅱ.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1.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아는 것과 믿는 것 1) 명제적 지식 특정한 영역에서 서로 관련 있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때, 하나의 학문이 형성된다. 대부분의 학문에서 얻어지는 지식은 명제적 지식(논리적 판단을 언어나 기호로 표현한 지식)에 해당한다. 2) 지식은 단순히 믿는 것과 어떻게 다른가? 그렇다면 지식과 지식이 아닌 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플라톤은 지식을 '정당화된 참인 생각 혹은 믿음'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우리의 모든 생각이나 믿음이 곧 지식이 되는 것은 아니다. 참된 믿음이 지식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지식으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당한(합리적인) 근거가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 우리가.. 2013. 11. 14. Ⅰ. 철학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가? Ⅰ. 철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가? 1. 철학은 어떤 학문이며 왜 하게 되는가? 1) 지적 즐거움 충족 - 이론적인 성격 ① 모든 인간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철학적 호기심을 지닌다. ② 경이감: 철학적 탐구의 결과가 사물의 진상의 상식과 어긋나는 것으로 드러났을 때 느끼게 되는 지적 희열 2) 개인적, 사회적 현실의 모순 극복 - 실천적인 성격 문제상황(있어서는 안된다고 느껴지는 상황)을 접할때 철학적 물음을 제기한다. 어떤 상황이 문제상황이라는 것은 그러한 상황이 존재하지 말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존재하고 있다는 뜻이다. 문제상황이란 그런 의미에서 존재와 당위(마땅히 하여야 됨)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문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그런 문제상황대신 존재해야하는 .. 2013. 11.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