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라는 것은 어떤 보이지 않는 공동체—도덕적 공동체—안에서 성원권을 갖는다는 뜻이다. 즉 사람임은 일종의 자격이며, 타인의 인정을 필요로 한다. 이것이 사람과 인간의 다른 점이다. 이 두 단어는 종종 혼용되지만, 그 외연과 내포가 결코 같지 않다. 인간이라는 것은 자연적 사실의 문제이지, 사회적 인정의 문제가 아니다. 어떤 개체가 인간이라면, 그 개체는 우리와의 관계 바깥에서도 인간일 것이다. 즉 우리가 그것을 보기 전에도, 이름을 부르기 전에도 그 고유한 특성에 의해 이미 인간일 것이다. 반면에 어떤 개체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사회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어야 하며, 그에게 자리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문학과지성사, 2015), 1장 사람의 개념
'북 아카이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03. 시선, 그 끝에 와 닿는 모든 것을 객체로 사로잡아버리는 강력한 힘 (0) | 2023.04.03 |
---|---|
문유석, '결국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따스함'(<최소한의 선의> 중에서) (0) | 2022.05.14 |
김소연, '나 자신은 결코 차지할 수 없는 장소이자, 나 이외의 사람만이 차지할 수 있는 장소'(<한 글자 사전> 중에서) (0) | 2022.05.14 |
김지혜, '웃자고 한 말에 죽자고 덤벼야 할 때'(<선량한 차별주의자> 중에서) (0) | 2022.05.13 |
무라카미 하루키, '영원한 여성성에 의한 구원과 은총'(<노르웨이의 숲> 중에서) (0) | 2021.07.11 |